오늘 포스팅을 할
단열공사 현장은 근생건물상가로
평데크 천장으로 이루어진
건물이었습니다.
내부 천장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철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겨울철이 되면 특히나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사실은 겨울 뿐만 아니라
여름철 냉방을 아무리 돌려도
온도 유지가 쉽지 않다는 단점 또한
함께 안고 가야 하는 상황인데요.
작은 굴곡들이 있는
쉐입을 띄고 있기 때문에
다른 방식보다도
수성연질폼을 이용한
단열이 반드시 필요한 현장입니다.
열흡수율이 높고 모양이 일정하나
여러가지 단열재들이
부착하기 쉬운 환경은 아니라
스프레이건 타입이 필요한 셈인데요.
단열을 하지 않으면
겨울철 걱정되는
결로의 피해 뿐만 아니라
무더워지는 날씨 속에서
냉방 효율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특히나 이렇게
굴곡이 있는 구조에는
작은 틈부터 골고루 도포가 될 수 있도록
섬세하게 작업을 할 필요성을 느끼는데요.
단열공사를 끝내고 나면
단열재 그리고 각각의 굴곡 사이에
따로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더욱 유지가 쉽습니다.
올바른 단열 방법은
이렇게 도포가 된 단열재와
도포가 된 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아
결로를 막아 줄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죠.
때문에 보다 기밀하게
시공을 하는 것으로써
여름이나 겨울 계절에 관계 없이
비교적 튼튼하게
유지를 할 수 있는 효과를 불러 옵니다.
이번 단열공사 현장 또한
베스트단열의 전문인
수성연질폼을 이용해서 굴곡들을 빠짐 없이
메꾸어 줄 수 있었습니다.
다들 느끼시는 것 처럼
철제들은 내리쬐는 햇빛에도 쉽게 달구어져
실내 온도를 다시 한 번
올린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현장에 따라서
이러한 철제 소재로 건축이 되어야 하지만
단열이 잘 되지 않는다는
치명적인 리스크를 안고 가야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건축 후에는
여름철 무더운 온도에 간접적으로
노출이 되지 않도록
단열 시공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쉽게
결로가 형성될 수 있어
장마철에 냉방을 가동 하더라도
불쾌함이
배로 다가올 수 밖에 없을 것인데요.
이런 부분들을 막기 위해서
친환경 자재인 수성연질폼을 도포해
자연스럽게 이것이 가진
수분 유지력을 활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겨울철에는
이런 철제가 냉기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결로수가 발생,
후에는 실내 공간에서
자주 곰팡이를 찾아 볼 수 있을 텐데요.
이런 점들을 막기 위해서라도
수분 조절력이 좋은 수성연질폼 시공으로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컨트롤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방식을 통해서 수성연질폼은
수분을 조절해 주며
외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막아 주는 역할을
든든하게 해내게 되는 것인데요.
스프레이 건을 이용해 부착하는 면에
기밀하게 시공이 가능하기에
조금 더 작은 틈까지도
완벽하게 커버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부착면에 발포를 하면
3~5 초 사이에 100배 가량의
부피로 부풀어 올라
접착면을 메꾸어 주는데요.
이렇게 발포가 될 수 있도록
물을 매개체로 하고 있어
비교적 안전한 친환경자재로써
그 기능을 인정 받은 바 있습니다.
이렇게 물을
매개로 하는 것의 장점은
앞서 계속해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수분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가장 크죠.
물론 친환경자재로써
단열공사를 끄내고 나서 어느 정도
노출이 되어 있더라도
새집증후군이 발생이 되지 않습니다.
가장 언급이 많은 물질로
포름알데히드나 벤젠이 있을 텐데
이것이 방출되지 않아
생활 공간의 시공으로 적합한 소재인데요.
타 단열재를 이용해 시공을 할 때
부착면이 헐거워져 떨어지고
또한 파손이 될 수 있다는
단점까지 모두 커버를 하고 있습니다.
단열공사 시공 후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떼어내지 않는 이상은
단단하게 고정이 되어
떨어질 일이 거의 없죠.
때문에
이렇게 작은 굴곡들이 있는 철제 현장에서
또 목재로 만들어져 틈이 많은 현장에서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 소재입니다.
친환경단열재로 안전하게
시공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생활 비중이 높은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 준다는 장점을 가지는데요.
실질적으로 가장 중요한
단열 성능 또한 타 단열재 대비 높은 편이라
계절에 관계 없이
단열이 걱정되는 상황이라면
수성연질폼으로
시공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